사회지표 뜻? 국민의 복지 수준을 측정(1960년 대 등장)

사회지표 뜻과 개념 설명
사회지표 뜻과 개념 설명

사회지표 뜻과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해봅시다.




사회지표 뜻과 개념 알기

사회지표 뜻(SI, Social Indicator)은 한 사회의 발전 정도와 사회 복지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와 지표를 의미합니다. 사회 지표는 한 국가나 사회의 발전 상태를 나타내는 총체적인 기준이며 경제와 사회, 환경과 생활의 질을 포괄하고 있는 중요한 사회적인 지표입니다.

사회 지표(Social Indicator)는 국민 생활의 전반적인 복지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사회지표(SI)는 경제지표와 대칭 되는 개념입니다. 사회지표는 경제와 사회 변화에 대한 분석과 계획이나 정책의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사회지표로 취급하는 대상 분야는 다양합니다. 사회 지표의 대상은 삶의 기본 조건과 관련된 영역, 사회 경제적 영역, 사회 정치적 용역, 사회문화적 영역입니다.

사회 지표(Social Indicator)에서는 보건, 식량, 환경, 인구 분야, 노동, 고용, 소득, 소비, 주거, 가정, 단체 생활, 종교, 여가, 학문, 예술, 교육 등의 사회와 관련된 다양한 영역을 다룹니다. 사회 지표 체계는 크게 인구 부문, 소득과 소비 부문, 고용과 노사 관계 부문, 교육 부문, 보건 부문, 주택과 환경 부문, 사회 부문, 문화와 여가 부문, 공안 부문으로 구성합니다.

사회 지표는 한 국가나 사회의 사회적 상태를 총체적이면서 집약적으로 표현하여 국민의 생활과 복지에 대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까지 측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회 지표는 인간 생활의 전반적인 복지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국가통계포털 KOSIS 바로 가기 >




사회지표 뜻과 개념 설명

사회지표 뜻(SI, Social Indicator)은 한 사회의 구성원들에 대한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의미합니다. 사회지표는 사회보고라고도 부릅니다. 사회지표는 UN(국제연합)에서 처음 제시한 지표입니다.

사회 지표는 국민 생활의 전반적인 사회 복지 수준과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사회 지표(SI)는 사회적 가치와 국가 정책의 목표를 계획하고 검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회 지표는 국민 복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사회 여건의 현황과 추세를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사회지표는 국민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에서 복지수준과 생활 수준을 측정하는데 좋은 기준이 됩니다.

사회 지표를 통해 현재 국가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회 개발 정책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파생적 효과와 역기능도 측정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한 차원 더 높은 국가의 정책 수립과 정책 결정을 가능하게 해주고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사회 지표(Social Indicator)는 한 국가와 사회의 주요한 생활 영역에 대한 조건에 대해서 종합적이고 균형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직접적인 통계 자료입니다.

사회 지표의 기능은 3가지가 있습니다. 사회 지표의 기능 3가지는 국민 생활의 양적 질적 수준에 대한 측정, 사회 경향과 변화 예측, 사회 개발 정책의 성과와 역기능 측정입니다.

[사회 지표의 3가지 기능]

구분내용
1국민 생활의 양적 질적 수준에 대한 측정
2사회 경향과 변화 예측
3사회 개발 정책의 성과와 역기능의 측정

사회 지표는 UN(국제 연합)에서 1960년대 중반 처음 제시한 개념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8년에 350개의 지표가 체계화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사회 지표가 작성되어 공표됩니다. 1987년에는 468개 지표로 더 체계화 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회 지표는 각종 사회의 통계를 통해 복지 수준을 측정하게 해주는 지표입니다.

GNP(Gross National Product)가 개인 소비와 민간 설비 투자와 같은 경제 활동을 화폐량으로 집계하는데 반해 사회 지표는 GNP에 직접 산입 되어 측정 되지 않는 항목들을 측정합니다. 대표적으로 건강, 교육, 학습 활동, 고용과 근로의 퀄리티, 여가, 물적 환경, 가족, 커뮤니티, 생활의 퀄리티, 계층과 사회 이동 등 GNP에 산입 되지 않는 국민 생활과 관련된 통계로 복지 수준을 나타냅니다.

우리나라의 사회 지표는 통계청에서 발표합니다. 우리나라 통계청이 발표하는 사회지표는 인구, 가구/가족, 건강, 교육/훈련, 노동, 소득/소비/자산, 여가, 주거, 생활 환경, 안전, 사회 통합/주관적 웰빙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회 지표 항목 22가지 예시]

구분내용
1총 인구 수
2주위 연령
365세 이상 인구 수
4합계 출산율
5수도권 인구
6평균 가구원 수
7가구 구성 형태
8첫째 아이 엄마의 평균 출산 연령
9우리나라 인구의 기대 수명
10사망 원인 중 1위의 원인
1119세 이상 인구의 흡연 비율
12음주율
13초중고 사교육 참여 비율
14교원 1인 당 학생 수
15고용률
16실업률
17임금 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
18국내총생산(GDP)
191인 당 국민총소득(GNI)
20연평균 가구 소득
21화재 사망자 수
22도로 교통 사고로 인한 사망 비율

우리나라 사회지표는 한국 사회지표 보고서 발간과 함께 국가통계포털 KOSIS에도 공시 됩니다.

사회 지표를 통해 우리나라의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과 관련된 전반적인 경제와 사회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표하는 사회 지표 중 재밌는 지표들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