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기술, 우리나라의 인공지능은?

생성형 AI기술,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가상 모습

생성형 AI기술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개발 상황은 어떨까? 이것이 기회인지 한계인지 알아보자.

생성형 AI기술에 대한 개요

생성형 AI기술은 단순하게 정보를 나열하는 것을 뛰어넘는 AI기술이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생성형 AI기술에 대해서 한국말을 이용해서 만들어야 하며 기술, 자본, 인력에 대해서 외국의 AI 관련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있다.

개발 프로그램 사진

네이버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AI에 챗 GPT형 기능을 접목해서 서치 GPT를 만들고 있다. 카카오는 한국어 AI Ko GPT를 만들고 있다. SK텔레콤에서도 인공지능기술을 가지고 있는데 기존에 가지고 있는 에이닷 AI에 챗 GPT를 추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 인프라 관련 사진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다. 챗 GPT기능을 빠르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AI반도체 솔루션 개발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회사들이 협업해서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 AI 개발 능력은 세계 3위이다. 다만, 인력 수준은 28위이다.




생성형 AI기술의 설명

생성형 AI기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대한 AI를 작동 시키기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만들기 위해서 많은 비용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공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량 학습이 필요하고 AI기술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AI생태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

개발자의 코딩 모습

우리나라 말이 AI활용에 좀 더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어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알려져 있있지만 국내 인공지능 모델은 외국 인공지능에 비해서 한국어 데이터 학습량이 훨씬 많아야 하는 상황이다.

AI번역기를 이용해서 한국문학 번역상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 한국어에 서툴은 일본인이 한국 웹툰을 초볼로 번영하고 난 다음에 AI번역기로 다듬었는데 사람과 인공지능의 대결이 되었고 사람의 결과물보다 인공지능의 결과물이 좋았던 것이었다. 그만큼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결과물의 퀄리티가 높아졌다.




생성형 AI기술에 대한 추가내용

생성형 AI기술을 활용하여 네이버 쇼핑에서는 기획전을 사람이 아니라 AI가 만들도록 하였다. 사용자들이 검색한 검색 패턴과 구매 패턴을 분석해서 상품 선정에서 부터 화면에 배치하는 부분까지 담당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더 나아가서 마케팅 카피라이팅까지 만드는 역할까지 AI가 담당할 수 있다.

네이버의 클로바는 현재 챗 GPT처럼 질문을 던지고 답을 내놓는다.

마이크로소프트 빙의 콘텐츠 생성 모습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대화형 AI시스템인 챗 GPT를 기반으로 검색엔진을 내놓으면서 구글이 당황하여 비슷한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를 급하게 만들어서 발표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이제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서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빙과 엣지의 협업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은 구글에 항상 밀려서 도약이 필요했던 것이다. 인공지능을 검색엔진에 도입하자 검색이 훨씬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더 궁금한 내용에 대해서는 채팅을 통해서 사람과 대화하듯이 질문하고 답을 받는 형태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빙의 채팅 기능 모습

그리고 트위터에 올릴 글, 이메일을 작성하는 일, 동화를 써주는 일들에 대해서 챗 GPT가 대신 해줄 수 있게 되었다. 중국에서도 바이두를 통해 AI검색 엔진을 내놓겠다고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