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리티지수(Parity Index)란? 물가 상승과 농산물 가격 2가지를 연동

패리티지수 뜻과 개념
Concept of Parity Index

패리티지수 뜻과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패리티지수 뜻과 개념 알기

패리티지수(Parity Index)는 물가 상승과 연동하여 농산물 가격을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패리티 지수는 기준 연도와 농가 총구입 가격을 100으로 놓고 비교연도의 가격등락률을 지수로 표시한 개념입니다. 패리티 지수는 농산물 가격지수를 공산물 가격지수로 나눈 값입니다. 농가수취 가격지수를 농가 지불가격지수로 나눈 값도 동일합니다.

그리고 패리티 지수를 기존 연도의 농산물 가격에 곱한 것이 패리티 가격입니다. 패리티 지수와 패리티 가격은 유사하게 사용하지만 구분될 수 있습니다. 패리티 지수는 비료, 농기구, 의류와 같은 개별 품목의 가격 변동률을 구하고 이를 가중평균하여 계산합니다.

패리티 지수 = 농가수취가격지수/농가지불가격지수

패리티 가격 = 패리티 지수 × 기준연도 농산물 가격

패리티 가격은 1933년 농업조정법에 의해서 미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개념입니다.




패리티지수 뜻과 개념 설명

패리티지수(Parity Index)는 기존 연도의 농가 총 구입 가격을 100으로 정해 놓고 기준 연도 가격과 비교연도의 농가 총 구입 가격에 대한 등락률을 비교해서 수치화 한 것입니다.

패리티(Parity)는 균형 잡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농가에서 판매하는 농산물의 가격과 농가에서 구입한 비료나 농기구와 같은 농업 생산 용품의 가격이 균형을 이루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패리티 지수와 패리티 가격은 유사하지만 패리티 지수는 전년과 대비하여 농산물 총 구입 가격의 등락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패리티 가격은 농산물의 총 구입 가격을 고려해서 현재 농산물의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수치입니다. 패리티 가격은 현재 물가 상승 요소를 고려하여 농산물 가격을 산출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공산품의 가격은 제조기업에서 결정하지만 농산물의 가격은 생산자가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재화 보다 유통 과정이 복잡한 경우 가격 변동성이 심할 수 있어 농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정부가 개입하여 패리티 지수와 패리티 가격을 기준으로 농산물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Concept of Parity Index]

패리티지수 뜻과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