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챗봇이 점점 고도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번에 미국에서 챗GPT라고 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Chatbot)이 출시되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AI챗봇 열풍의 개요
미국에서 챗 GPT라고 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이 등장하였는데 방대한 양을 학습한 인공지능으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서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챗 GPT는 미국의 오픈 AI가 만든 대화형 AI 챗봇이다.
AI챗봇 열풍의 내용
챗 GPT는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챗봇이며 수준 높은 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의 수준이 높아서 일일 사용자는 1천3백만명이 넘어섰고 월간 사용자수는 1억명에 도달했다. 그것도 두 달만에 기록한 숫자이다.
월간 사용자 수가 1억명에 도달하기 까지는 구글(Google)의 경우 8년이 결렸고 유튜브(You Tube)는 3년, 페이스북(Facebook)은 3년이 걸렸었다. 하지만 Open AI의 Chat GPT는 2개월 만에 1억명에 도달했기 때문에 수준과 인기를 짐작 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수준이 전문직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수준의 에세이(Essay)를 만들 수 있고 논문을 단시간 안에 만들 수 있는 수준이라서 관심과 함께 논란과 충격이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준보다 앞으로 더 정교해지고 고도화될 예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인류에 가져다 줄 변화와 충격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AI챗봇에 대한 한국 대응
월 구독료 개념으로 월 20달러 유료화를 선언하여 진행될 예정인데 월 2만원 수준이라 넷플릭스(Netflix)와 같은 형태로 될텐데 넷플릭스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챗 GPT가 정교해지면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줄 것이고 특히 검색 시장에서 한국 검색 포털들도 이에 대한 긴장과 대응을 하려고 하고 있다. 네이버의 경우 검색 기능에 집중한 서치GPT라고 하는 AI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검색 결과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가장 최적화되고 적합한 콘텐츠를 검색포털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콘텐츠 소비 경험을 향상시키는 목표로 한국의 네이버(Naver)에서도 대응하고 있다.
네이버의 서치 GPT도 그래서 기대가 되는 상황이다. 카카오(KaKao)의 경우도 한국어 특화 버젼으로 구성되는 KoGPT를 공개하였는데 이를 더 고도화해서 새로운 대화 모델로 만들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카카오는 KoGTP를 KaKao Brain으로 선언했다.
앞으로 AI의 발전과 확장성에 기대가 되는 상황이다.